최근 몇 년간 K-푸드는 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며 전통 음식뿐만 아니라 디저트 분야에서도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한국의 전통 간식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브랜드들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이장우 호두과자’로 알려진 부창제과다. 이 브랜드는 레트로 감성과 독창적인 제품 개발로 단기간에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 시장으로의 확장을 앞두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부창제과의 성공 요인과 K디저트 열풍이 만들어낸 변화, 그리고 글로벌 진출 전망에 대해 살펴보겠다.
![](https://blog.kakaocdn.net/dn/bAwaMK/btsL8HNdbnw/eStQ6NXpDTTqhKXQ5rF2wk/img.jpg)
💡목 차💡
1. K디저트 열풍, 호두과자가 주도한다
2. 부창제과,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다
3. 일본을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 결 론
1. K디저트 열풍, 호두과자가 주도한다
최근 몇 년간 K-푸드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면서 전통 디저트도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한때 도넛, 베이글 같은 서양 디저트가 대세였지만, 이제는 한국의 떡, 호빵, 호두과자 등이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그 중심에 있는 브랜드가 바로 ‘이장우 호두과자’로 알려진 부창제과다. 지난 12월 신세계백화점 대구점에 입점한 이후 한 달 만에 100만 개가 팔리는 기록을 세우며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여기에 힘입어 부창제과는 올 하반기 일본 시장에 진출을 앞두고 있다.
부창제과의 성공은 단순히 호두과자라는 전통 간식 때문만이 아니다. 브랜드 스토리와 함께, 새로운 방식으로 제품을 재해석하며 현대적인 감성을 접목한 것이 인기 요인으로 분석된다.
2. 부창제과,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다
부창제과는 단순한 호두과자가 아니라, 전통과 현대를 결합한 브랜드 스토리로도 주목받고 있다. 60년 전 경주에서 시작된 부창제과는 1990년대 문을 닫았지만, 창업주의 외손자인 이경원 FG 대표와 배우 이장우가 힘을 합쳐 브랜드를 다시 부활시켰다.
특히, 단순한 호두과자가 아닌 새로운 감각의 제품 개발이 큰 성공 요인이 되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 우유니소금 호두과자: 소금이 들어간 특별한 풍미의 호두과자
- 센베이 아이스께끼: 전통 센베이(일본식 전병)와 아이스크림의 조합
이러한 제품들은 단순한 복고풍이 아니라, 레트로 감성과 현대적인 트렌드를 동시에 반영한 제품이라는 점에서 MZ세대의 감성을 자극했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과 대구점에서 연일 대기 줄이 2시간 넘게 늘어서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3. 일본을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부창제과는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으로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올 하반기 일본 백화점 및 쇼핑몰에 입점할 계획이며, 이는 한국 전통 디저트가 해외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가 될 전망이다.
K-디저트의 글로벌 성장 가능성은 이미 데이터로도 증명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떡류 수출액은 9140만 달러(약 1330억 원)로 5년 전보다 세 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부창제과는 국내 매장을 더욱 확장하는 동시에, 미국 진출까지도 계획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경주 지역을 기반으로 한 장학 기금 조성 등 사회적 환원 활동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혀 더욱 기대를 모은다.
▣ 결 론
부창제과의 성공은 단순한 디저트의 인기가 아니라, 전통과 현대를 융합한 브랜드 스토리, 새로운 방식의 제품 개발, 그리고 K-디저트의 글로벌 성장 가능성을 모두 보여주는 사례다.
이장우와 FG의 협업을 통해 부활한 호두과자가 이제는 일본을 넘어 미국까지 진출을 준비하며, 한국 디저트의 새로운 길을 열어가고 있다.
K-푸드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가운데, K-디저트의 글로벌 시장 확대가 어디까지 가능할지 기대된다. 과연 부창제과가 해외에서도 지금의 인기를 그대로 이어갈 수 있을지,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 주목된다.
💡관련 이전글
2025.02.03 - [분류 전체보기] - SPC그룹 미국 텍사스 제빵공장 건립 확정
SPC그룹 미국 텍사스 제빵공장 건립 확정
최근 SPC그룹이 미국 텍사스주에 대규모 제빵공장을 건설하기로 확정했다. 이는 북미 및 중남미 시장을 겨냥한 전략적 투자로, SPC그룹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이번
sstt55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