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의원회관 지하 1층에는 국회의원만 이용할 수 있는 전용 목욕탕이 있다. 이곳은 의원들이 이른 아침부터 하루 일정을 준비하는 공간이지만, 최근 뜻밖의 논란이 발생했다. 바로 목욕탕에 설치된 TV 채널을 두고 여야 의원들 간에 치열한 눈치 싸움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특정 방송사 뉴스가 계속 틀어져 있다는 점에서 정치적 대립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1. 국회 목욕탕에서 벌어진 TV 채널 전쟁
국회 목욕탕은 여느 동네 목욕탕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한 가지 특별한 점이 있다. 바로 탕 안과 사우나실에 각각 설치된 TV다. 이 TV에서는 주로 아침 뉴스가 재생되는데, 최근 특정 방송사의 뉴스가 자주 틀어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지난 1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목욕탕 TV가 MBC로 고정되어 있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그는 과거에는 YTN이나 연합뉴스TV를 트는 것이 묵시적인 관행이었지만, 최근 민주당 의원들이 많아지면서 MBC가 고정적으로 방송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그는 직접 TV 채널을 연합뉴스TV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발언이 공개되자 정치권 안팎에서 다양한 반응이 나왔다. 야당 측에서는 단순한 채널 변경을 넘어 언론의 자유와 정치적 개입 문제로 확대 해석하며 비판했다. 반면, 여당 측에서는 특정 방송사의 편향성을 문제 삼으며 공정성을 강조하는 차원이라고 반박했다.
2. MBC 채널을 고정한 사람은 누구?
권성동 원내대표의 발언 이후, 목욕탕에서 MBC를 고정한 인물이 누구인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이광희 의원이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직접 입장을 밝혔다. 그는 "국회의원 목욕탕에 가장 일찍 오는 의원 중 하나라서 맨날 MBC를 틀어 놓은 사람이 바로 접니다"라며 자진 고백했다.
이광희 의원은 또한 "누군지 다 알고 있으면서 이런 식으로 뒷담화하는 게 찌질하다"고 권 원내대표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그는 목욕탕 TV 채널 변경이 정치적으로 확대 해석되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하며, 단순한 개인적 취향이 공적 공간에서 논란이 되는 현실을 꼬집었다.
이러한 발언이 나오면서 정치권 내에서도 논쟁이 심화되었다. 일부 의원들은 공용 공간에서 특정 정당의 입맛에 맞는 방송이 반복적으로 틀어지는 것은 문제라며 TV 채널을 공정하게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일찍 온 사람이 먼저 채널을 선택하는 것은 일반적인 관행이며, 이를 문제 삼는 것은 과도한 정치적 개입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3. 정치와 미디어 선호, 국회의원들의 인식 차이
이번 사건은 단순한 TV 채널 논란을 넘어, 정치권 내에서 미디어를 바라보는 시각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여야는 각기 다른 방송사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정 언론을 공정성 문제로 공격하거나, 반대로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국민의힘 측은 MBC가 편향된 보도를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당에 불리한 내용이 지속적으로 방송된다고 주장한다. 반면, 민주당 측에서는 언론의 자유를 강조하며 여당이 방송을 통제하려는 시도를 보인다고 반박한다. 이런 미디어 선호 차이는 국회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번 목욕탕 TV 논란이 그 대표적인 사례로 떠올랐다.
한편, 일부 국회의원들은 이번 논란을 계기로 공용 공간에서 특정 방송이 고정되는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예를 들어, 정해진 시간마다 다양한 방송사를 번갈아가며 재생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방안이 실행될 가능성은 낮아 보이며, 앞으로도 TV 채널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 결 론
국회 목욕탕 TV 채널 논란은 단순한 해프닝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정치권 내의 미디어 인식 차이와 대립이 자리하고 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직접 MBC를 연합뉴스TV로 변경한 것은 특정 언론에 대한 불신을 드러낸 것이며, 이에 대해 민주당 이광희 의원이 반박하면서 논쟁이 가열되었다.
이번 사건은 공용 공간에서 미디어의 중립성과 공정성을 어떻게 유지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던진다. 특정 정당의 입맛에 맞는 방송이 지속적으로 틀어지는 것이 문제인지, 아니면 일찍 온 사람이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이번 논란은 단순한 TV 채널 변경을 넘어, 정치권이 언론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남을 것이다.
앞으로 국회 내에서 이러한 논란이 어떻게 정리될지는 지켜볼 일이지만, 미디어와 정치의 관계는 쉽게 해결될 문제가 아닐 것이다. 결국 국회의원들도 국민과 마찬가지로 각자의 선호하는 언론을 가지겠지만, 공용 공간에서의 공정한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관련 이전글
2025.03.12 - [정치,정책 의견] - '아스팔트 정치'의 뜻과 한국 정치의 분열 심화
'아스팔트 정치'의 뜻과 한국 정치의 분열 심화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 100일이 지난 지금, 한국 정치권은 극심한 대립과 거리 투쟁으로 혼란을 이어가고 있다. 여야는 각각 거리로 나서며 지지층 결집을 위한 아스팔트 정치를 벌이고 있으며,
sstt551.tistory.com
2025.03.14 - [정치,정책 의견] - 류희림 방심위원장, 권성동에 "감사합니다" 문자 포착
류희림 방심위원장, 권성동에 "감사합니다" 문자 포착
국회에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 류희림 위원장의 사퇴 촉구 결의안과 감사원 감사 요구안이 가결되면서 정치권과 미디어 업계를 둘러싼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본회의 도중 류 위원
sstt551.tistory.com
'정치,정책 의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의 외환보유액 편입, 한국은행의 신중한 태도 (2) | 2025.03.16 |
---|---|
'톤틴 연금보험' 뜻, 금융당국이 제시한 '한국형 톤틴 연금보험' 알아보기 (0) | 2025.03.16 |
'BP패밀리'의 뜻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분석 (6) | 2025.03.14 |
류희림 방심위원장, 권성동에 "감사합니다" 문자 포착 (1) | 2025.03.14 |
'도주원조죄' 뜻, 민주당 심우정 검찰총장 추가 고발 검토 (1)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