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무료 화상전화 스카이프, 5월 5일 서비스 종료… 팀즈로 전환 유도

견금 2025. 3. 3. 08:10
반응형

2000년대 초반, 무료 화상통화 서비스의 대표 주자로 자리 잡았던 스카이프(Skype)가 오는 5월 5일 서비스를 종료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공식적으로 이 사실을 발표하며 기존 이용자들에게 팀즈(Teams)로의 이전을 권장하고 있다. 스카이프는 한때 세계적인 인기를 누렸던 서비스였지만, 모바일 메신저와 협업 도구의 발전 속에서 점차 이용자 수가 감소하며 결국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사진출처 : 스카이프


1. 스카이프의 탄생과 성장

스카이프는 2003년 에스토니아에서 개발된 인터넷 전화 및 채팅 서비스다. 초고속 인터넷망이 보편화되기 시작한 시기와 맞물려 스카이프는 빠르게 성장했다. 당시 비싼 국제전화 요금을 부담해야 했던 사용자들에게 스카이프는 혁신적인 대안이 되었다.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영상통화 기능을 제공하며, 특히 해외에 거주하는 가족과 친구들, 유학생들에게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2005년 스카이프는 이베이(eBay)에 26억 달러에 인수되었으며, 2011년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85억 달러에 이를 다시 인수하면서 더욱 성장할 기반을 다졌다. MS는 스카이프를 자사의 서비스와 통합하며 윈도우 운영체제와 연계하여 이용자 수를 더욱 늘리고자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경쟁 서비스들이 등장했고,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스카이프의 입지는 점차 좁아졌다.

 

2. 스마트폰 시대와 스카이프의 위상 변화

스카이프가 인기를 끌었던 시기는 주로 데스크톱 기반의 PC 사용이 활발하던 시기였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통신 방식도 급격히 변화했다. 애플의 아이메시지와 페이스타임(FaceTime), 구글의 행아웃(Hangouts), 그리고 2014년 당시 페이스북이 인수한 와츠앱(WhatsApp) 등 다양한 메신저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스카이프의 시장 점유율은 점차 줄어들었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 최적화된 메신저 앱들은 문자뿐만 아니라 무료 음성 및 영상통화 기능까지 제공하면서 스카이프의 필요성이 감소했다. MS는 이를 만회하고자 스카이프 모바일 앱을 출시하며 변화하는 트렌드에 대응하려 했으나, 후발 주자들이 이미 시장을 선점한 상태였다. 2016년 스카이프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약 3억 명에 달했지만, 2020년에는 2,300만 명까지 감소하며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3. MS의 팀즈로의 전환과 스카이프 서비스 종료

스카이프의 쇠퇴 속에서도 MS는 지속적인 변화를 모색했다. 2017년, MS는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합할 수 있는 플랫폼인 팀즈(Teams)를 출시했다. 팀즈는 단순한 화상회의 기능뿐만 아니라 업무 협업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기업과 기관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이 확산되면서 원격 근무와 온라인 회의가 필수가 된 환경에서 줌(Zoom), 구글 미트(Google Meet) 등과 함께 팀즈는 급성장했다. 이에 따라 MS는 기존의 스카이프 사용자들을 팀즈로 유도하기 시작했다. 2023년 팀즈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3억 2천만 명에 달할 정도로 성장했으며, 이는 스카이프의 입지가 점차 줄어드는 데 영향을 미쳤다.

 

결국 MS는 지난 2월 28일, 공식적으로 스카이프 서비스 종료를 발표했다. 기존 스카이프 사용자들은 팀즈로 쉽게 이전할 수 있으며, 스카이프 계정으로 팀즈에 로그인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연락처 및 채팅 기록도 자동으로 이전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결 론

스카이프는 인터넷 전화의 대중화를 이끌었던 혁신적인 서비스였다. 특히 2000년대와 2010년대 초반까지 많은 사람들이 스카이프를 통해 해외 통화 비용을 절감하고, 가족 및 친구들과 영상통화를 나누는 등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경험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과 모바일 환경의 변화 속에서 스카이프는 점차 그 역할을 다른 플랫폼에 넘겨주게 되었다.

 

MS의 팀즈는 이제 기업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스카이프의 종료는 단순한 서비스 종료가 아니라, 기술과 시장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도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기존의 서비스들은 변화하거나 사라질 것이다. 스카이프의 역사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남긴다.

 

💡관련 이전글

2025.02.04 - [분류 전체보기] - [TGI프라이데이스 영업종료] 한국에서 33년 만에 철수

 

[TGI프라이데이스 영업종료] 한국에서 33년 만에 철수

패밀리 레스토랑의 대표 주자였던 TGI프라이데이스가 한국에서 33년 만에 영업을 종료한다. 1992년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 첫 매장을 연 이후, 한때 전국에 60여 개의 매장을 운영하며 많은 사랑을

sstt551.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