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퍼스트 버디' 트럼프의 절친 일론 머스크와 기업들의 협력 강화

견금 2025. 2. 5. 17:58
반응형

최근 미국의 주요 기업들이 일론 머스크와 그의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긴밀한 관계로 인해 '퍼스트 버디'(대통령의 절친)로 부상하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머스크는 단순한 기업가를 넘어 정치와 경제를 아우르는 영향력을 발휘하며, 그의 기업들과의 협력은 더 이상 단순한 사업적 결정이 아닌 국가적, 국제적 차원의 이해관계로 연결되고 있다.

트럼프와 일론머스크 (사진 :로이터)

💡목  차💡

1. 주요 기업들의 협력 사례
2. 기술 기업들의 참여
3. 금융권의 움직임

▣ 결  론

1. 주요 기업들의 협력 사례

  • 비자(Visa): 글로벌 결제 기업 비자는 머스크가 소유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엑스(X, 이전의 트위터)와 손잡고, 올해 안에 디지털 결제 기능을 포함한 금융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비자의 이번 결정은 엑스 플랫폼이 점점 더 금융 및 전자상거래 기능을 확대하고 있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머스크가 금융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 아마존(Amazon): 전자상거래 거대 기업 아마존은 1월 한 달 동안 엑스에 대한 광고비 지출을 전월 대비 10배로 늘리며, 머스크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는 머스크의 플랫폼이 광고 수익과 사용자 유입 측면에서 강력한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테슬라 및 스타링크의 협업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앞으로 더 많은 접점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 유나이티드항공(United Airlines): 유나이티드항공은 머스크의 우주 기업 스페이스X와 협력하여, 올해 봄부터 항공기 내에서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기내 인터넷 서비스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유나이티드항공뿐만 아니라 다른 항공사들도 이와 비슷한 협력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2. 기술 기업들의 참여

  • 애플(Apple): 애플은 통신업체 티모바일과 협력하여, 아이폰 운영체제(OS)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스타링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는 머스크가 주도하는 통신 시장 내 위성 인터넷 보급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향후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유사한 협력 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애플이 자체 인공지능 기술과 스타링크 네트워크를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 오라클(Oracle)과 인텔(Intel): 이들 기업은 각각 스타링크 및 엑스와의 협력을 발표하며, 머스크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 오라클은 자사의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하여 스타링크의 데이터 처리 및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향상에 기여할 예정이며, 인텔은 차세대 AI 칩셋을 테슬라 및 스페이스X에 공급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머스크의 사업 영역이 단순한 자동차나 우주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AI와 데이터 경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3. 금융권의 움직임

  • JP모건체이스(JP Morgan Chase): 과거 테슬라와의 법적 분쟁을 겪었던 JP모건체이스는 최근 머스크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소송을 취하하는 등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JP모건의 최고경영자(CEO) 제이미 다이먼은 최근 인터뷰에서 "머스크는 현대의 아인슈타인과도 같은 존재이며, 우리는 그와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는 머스크가 단순한 기업가가 아닌, 현대 산업과 금융계에서 핵심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도 테슬라 및 스페이스X 관련 투자 비중을 확대하며 머스크의 기업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는 머스크의 기업들이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일 것이라는 금융권의 신뢰를 반영하는 것으로, 특히 인공지능 및 우주기술 관련 펀드에서 머스크 관련 기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결  론

이처럼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머스크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배경에는, 그가 트럼프 행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기업들은 머스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며, 변화하는 환경에 발맞추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그의 기업들이 단순한 산업별 협력 관계를 넘어서 금융, 인공지능, 우주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머스크와의 협력은 단순한 비즈니스 관계를 넘어선 국가적·세계적 차원의 전략적 제휴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머스크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들의 머스크와의 관계 설정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관련 이전글

2025.02.03 - [분류 전체보기] - 브릭스(BRICS)의 뜻과 트럼프의 100% 관세 위협

 

브릭스(BRICS)의 뜻과 트럼프의 100% 관세 위협

최근 국제 경제 질서는 급변하고 있다. 미국 중심의 금융 시스템이 흔들리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떠오르는 경제 블록이 있다. 바로 브릭스(BRICS)다. 브릭스는 신흥 경제국들이 협력하여 글로

sstt551.tistory.com

2025.02.04 - [분류 전체보기] - 트럼프 대통령, 캐나다·멕시코 관세 한 달 유예 결정…글로벌 통상전쟁의 숨 고르기

 

트럼프 대통령, 캐나다·멕시코 관세 한 달 유예 결정…글로벌 통상전쟁의 숨 고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글로벌 통상전쟁이 잠시 숨을 고를 수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긴장은 지속되고

sstt551.tistory.com

2025.02.03 - [분류 전체보기] - 캐나다 트뤼도 총리 기자회견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대응

 

캐나다 트뤼도 총리 기자회견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대응

최근 캐나다와 미국 사이에 관세를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산 수입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두 나라의 오랜 동맹 관계에 금이

sstt551.tistory.com

2025.02.05 - [분류 전체보기] - 여성 스포츠에서 트랜스젠더 선수 출전 금지 : 트럼프 곧 행정명령 서명

 

여성 스포츠에서 트랜스젠더 선수 출전 금지 : 트럼프 곧 행정명령 서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여성 스포츠에서 트랜스젠더 여성 선수의 출전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다. 이번 행정명령은 '여성 스포츠에서 남성 배제(Keeping Men out of Women's Sports)'

sstt551.tistory.com

반응형